본문 바로가기
728x90

Development4

LInux에서 Shared Library 만들기 공유라이브러리는 정적 라이브러리와 다르게 실행시에 로드되는 라이브러리를 의미한다. 피일 확장자는 대부분 .so로 되어있다. 컴파일 시점, 실행할 시점에 라이브러리를 연결만 하는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도 가벼워지고, 귀찮음도 덜 수 있다. 다음의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자. 1. Source Code 간단하게 "haheho"를 출력하는 함수를 Shared Library로 작성한 후 main 함수에서 호출하는 예제를 생각해 보도록 하자. haheho.h #ifndef _HAHEHO_H_ #define _HAHEHO_H_ void getHaheho(); #endif haheho.c #include void getHaheho() { printf("haheho\n"); } main.c #include "haheho.h.. 2022. 8. 14.
Git config 설정 git에 대한 환경 설정은 git config를 사용해서 할 수 있다. 대부분의 site 들에서 "~/.gitconfig에 설정하면된다" 라는 식의 어찌보면 매우 부정확한 방법을 가이드 하고 있기에 바로잡고자 한다. 설정을 위한 방법은 3가지가 제공된다. 1. SYSTEM : /etc/gitconfig를 사용하는 방법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와 모든 저장소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git config --system 옵션을 사용한다. 2. GLOBAL : ~/.gitconfig 혹은 ~/.config/git/config를 사용하는 방법 특정 사용자 (아마도 현재 사용자) 에게만 적용된느 설정이다. git config --global 옵션을 사용한다. 3. LOCAL : .git/config를 사용하는 .. 2022. 6. 27.
SecureCRT tab name 변경 일반적으로 SecureCRT의 tab은 다음 그림과 같이 [ USER ] @ [ HOST ] : [ DIR ]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이런 방식이 좋을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path가 변경됨에 따라서 tab name도 변경되는 경우 이름이 중복되어 혼란스러운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접속한 server에 대한 SecureCRT에서 등록한 connection name을 계속 표시하는 것이 유용하다. 서버 내에서 계정의 변경등이 이루어 지는 경우도 많고, 그런것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connection name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에서 Terminal -> Emulation -> Advanced에서 Ot.. 2022. 6. 24.
Ubuntu 설치 후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작업을 Script로 설정하기 1. [Optional] /etc/hosts 에 필요한 domain 추가 대부분은 사용할 일이 없겠지만 private network 상에서 dns 등으로 별도 관리되지 않는 항목등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직접 추가해도 무방하지만 다음과 같이 script에서 처리도 가능하다. cat >> /etc/hosts /etc/apt/apt.conf /etc/gitconfig 2022. 6. 11.
반응형